본문 바로가기

디지털치료제

디지털 치료제와 재활 치료

재활 치료는 뇌졸중, 정형외과 수술 후, 신경계 손상, 근골격계 질환 등의 환자들이 신체기능을 회복하고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이다. 하지만 기존 재활 치료는 긴 치료 기간, 높은 비용, 접근성 문제 등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최근 디지털 치료제(DTx)가 재활 치료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이끌고 있다.

디지털 치료제와 재활 치료
디지털 치료제와 재활 치료

 

AI(인공지능),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웨어러블 기기 등을 활용한 디지털 치료제는 개인 맟춤형 재활 치료, 치료 지속성 향상, 의료비 절감 효과를 제공하며, 기존 재활 치료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디지털 치료제를 활용한 뇌졸중 및 정형외과 수술 후 재활 치료 사례를 살펴보고, 디지털 기술이 재활 치료에 어떻게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지 분석해보려고 한다.

 

1. 재활 치료 분야에서 디지털 치료제가 필요한 이유

기존 재활 치료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 치료제가 필요하다.

1) 긴 치료 기간과 높은 비용

뇌졸중 및 정형외과 수술 후 환자는 수개월에서 수년간 꾸준한 재활 치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재활 치료 비용이 높아 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가 많다.

2) 치료 지속성 부족

병원에서 제공하는 물리치료는 일정 기간 동안만 이루어지고, 이후 환자가 집에서 스스로 운동을 해야 하지만, 지속적으로 치료를 받지 못하고 환자의 의지가 부족한 경우에는 회복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3) 환자 맞춤형 치료 부족

기존 재활 치료는 모든 환자에게 동일한 운동법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환자의 개인별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맞춤형 재활 치료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부족하다.

디지털 치료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환자 맞춤형 재활 치료를 지원하는 새로운 솔루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2. 디지털 치료제를 활용한 재활 치료 사례

1) MindMaze: VR 기반 뇌졸중 재활 치료 솔루션

뇌졸중은 신경 손상으로 인해 운동 능력과 인지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으로, 빠른 재활 치료가 필수적이지만, 지속적인 치료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MindMaze는 VR(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신경 회복을 촉진하는 디지털 치료제이다. AI가 환자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맞춤형 재활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MindMaze의 작동 원리

  • 환자가 VR 헤드셋을 착용하고 가상공간에서 손, 팔, 다리를 움직이는 훈련을 진행한다.
  • AI가 환자의 움직임 데이터를 분석하여, 신경 재활 진행 상황에 대해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제공한다.
  • 환자가 게임을 하듯이 자연스럽게 재활 치료를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효과 및 임상 연구

임상 연구에 따르면, MindMaze를 활용한 환자들은 기존 물리치료보다 신경 회복 속도가 더 빨랐다. 특히 재활 치료를 스스로 지속할 가능성이 높아, 장기적인 회복 효과가 뛰어났다.

MindMaze는 뇌졸중 환자의 신경 회복을 촉진하고, 기존 물리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대표적인 디지털 치료제 사례이다.

 

2) Neurofenix: AI 기반 손, 팔 재활 치료 디지털 치료제

손과 팔의 운동 기능을 회복하는 AI 기반 재활 치료 솔루션이다. 환자가 집에서 재활 훈련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Neurofenix의 작동 원리

  • 환자가 특수 센서를 착용하고, AI가 환자의 팔과 손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재활 훈련을 설계한다.
  • 게임 형식으로 손과 팔을 움직이는 훈련을 진행하여 신경과 근육을 활성화한다.
  • 의사가 원격으로 환자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피드백을 제공한다.

효과 및 임상 연구

Neurofenix 사용자의 80% 이상이 3개월 이내에 손과 팔의 기능이 개선되었다. 병원 방문 없이도 집에서 재활 치료가 가능해, 치료 지속성이 높아진다.

Neurofenix는 AI를 활용하여 환자의 신경 회복을 돕고, 집에서도 지속적인 재활 치료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디지털 치료제이다.

 

3) Reflexion Health: AI 기반 관절 수술 후 재활 치료

정형외과 수술(무릎, 인공관절, 척추 수술 등) 후에는 적절한 재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근력 감소, 운동 기능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Reflexion Health는 무릎, 고관절 인공관절 수술 후 재활 치료를 위한 AI 기반 디지털 치료제이다. 가정에서 맞춤형 재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Reflexion Health의 작동원리

환자가 집에서 모션 센서를 착용하고, AI가 재활 운동을 모니터링한다.

AI가 운동 자세 교정 및 실시간 피드백을 제공하여 재활 효과를 극대화한다.

병원 방문 없이도 의사가 원격으로 환자의 재활 진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효과 및 임상 연구

Reflexion Health를 사용한 환자들은 일반 물리치료 환다보다 회복 속도가 25% 빨랐다. 치료 비용이 절감되고, 환자의 치료 지속성도 높아졌다.

Reflexion Health는 정형외과 수술 후 환자의 재활 치료 효과를 높이는 사례이다.

 

3. 디지털 치료제를 활용한 재활치료의 전망

AI가 환자의 신경 및 근육 상태를 분석해서 개인 맞춤형 재활 치료 계획을 설계하는 등 AI 기반 맞춤형 재활 치료가 더욱 확대될 것이다. 환자의 회복 속도 또한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훈련 강도 또한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해서는 실시간 모니터링이 강화될 것이다. 스마트워치, 모션 센서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환자의 운동 상태를 분석하고 병원 방문 없이 의료진이 환자의 재활 상태를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다.

VR과 AR 기술을 활용한 몰입형 재활 치료도 확대될 것이다. 가상현실(VR)을 활용하여 환자는 몰입감 있게 재활 치료를 받을 수 있으며, 증강현실(AR)을 활용하여 운동 자세를 실시간으로 교정하는 시스템도 개발될 것이다.

 

디지털 치료제는 기존 재활 치료의 한계를 극복하고, 환자 맞춤형 재활 치료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디지털 치료제를 활용하면 보다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한 재활 치료가 가능해질 것이다.